본문 바로가기

AI공부

사내 메신저 비교 정리, 중소기업에 딱 맞는 앱은?

사내 메신저 비교 정리를 통해 슬랙, 잔디, 팀즈 등 중소기업에 최적화된 협업툴을 소개하고 각 도구의 장단점을 알려드립니다.



사내 메신저 도입을 고민하는 중소기업들이 많습니다.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 도구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어떤 메신저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업무 생산성이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오늘은 실제로 많은 중소기업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사내 메신저들을 비교 정리하여, 어떤 도구가 우리 회사에 적합할지 파악해보겠습니다.



Slack - 글로벌 표준 협업툴


Slack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내 협업툴 중 하나입니다.
채널 기반 구조로 팀 단위 소통이 쉽고, 수많은 외부 앱들과 연동이 가능합니다.
단, UI가 영어 기반이라는 점과 유료 요금제가 다소 높은 편이라는 점은 중소기업에겐 부담일 수 있겠네요.

외부 협업이 많고 글로벌 서비스를 활용하는 기업에게 적합합니다.


잔디 - 국내형 협업 메신저


잔디는 한국 사용자에 최적화된 UI와 고객지원으로 많은 중소기업이 선택하는 메신저입니다.
프로젝트별 토픽으로 대화가 구분되고, 업무 템플릿, 파일 공유, 캘린더 연동 등 기능이 다양하네요.
특히 카카오톡 같은 익숙한 사용 방식이 장점이며, 국내 기업용 보안 요건도 잘 갖추고 있어 인기가 높습니다.
한글 UI + 국내 고객 대응이 필요한 팀에게 강력 추천드립니다.


MS Teams - 오피스 사용자에 강점


MS Teams는 Microsoft 365와의 강력한 연동을 바탕으로 문서 공동편집, 일정관리, 화상회의를 한 플랫폼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점이 강점입니다.
특히 이미 오피스를 사용 중이라면 추가 비용 없이 도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어요.
기존 워드/엑셀 기반 업무와 함께 협업툴을 사용하려는 기업에 유리합니다.


기능/요금 비교표 정리


항목 Slack 잔디 MS Teams
언어/UI 영어 중심 한국어 완전 지원 한글 가능
요금제 유료 중심 프리미엄 유/무료 병행 오피스 365 포함
외부 앱 연동 풍부 기본적 MS 중심

자주 묻는 질문(FAQ)


Q. 무료로 쓸 수 있는 사내 메신저는 어떤 게 있나요?
잔디, MS Teams는 일정 수준까지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Q. 외부 고객과도 사용할 수 있나요?
Slack은 외부 게스트 초대 기능이 있어 외부 협업에 용이합니다.


Q. 파일 공유도 가능한가요?
세 도구 모두 파일 공유 및 공동편집 기능을 제공합니다.


Q. 보안이 중요한데 어떤 도구가 좋을까요?
국내 보안 요건이 중요한 경우 잔디가 적합하며, MS Teams는 기업 보안 기준이 강합니다.



이상으로 중소기업에 적합한 사내 메신저 도구들을 비교해보았습니다.
사실 처음엔 무료 메신저로도 충분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업무 효율성과 보안, 연동 기능을 생각하면 전문 협업툴이 훨씬 낫더라고요.
지금 사용 중인 도구가 불편하거나, 새로운 협업 환경을 고민 중이라면 이번 글을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회사 규모나 구성원 특성에 맞는 도구를 잘 선택하시길 바랍니다!